인적이 없는 산속의 길. 따스한 햇살의 온기가 평편한 대지를 충분히 감싸는 숲 속. Archi Works는 이번 프로젝트를 맡으며 처음 사이트를 방문했던 당시를 이렇게 기억하고 있다. 서울의 도심 속에서 평생을 살아오던 건축주는 결혼을 앞두고 살랑이는 바람과 개울가를 흐르는 개울물의 맑고 청량한 소리로 완벽히 평화로운 진조리에 정착하기로 했다. 여느 건축가들이 그렇듯, Archi Works 역시 부지 주변의 자연 경관을 훼손하지 않고, 그 안에 그대로 녹아드는 주택을 세우고 싶었다. 그리고 건축주는 외진 곳에서 혼자만의 생활이 아닌 다른 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건축가에게 요청했다.
클라이언트의 바람대로 가족을 위한 공간과 타인과 함께할 수 있는 공간을 꾸미기 위해서는 공간을 구분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산이 감싸는 평평한 대지 위에 건물을 2층으로 올려 클라이언트가 이미 평생동안 살아본 도심지의 답답함을 재현하고 싶지 않았다. 건물을 위로 올리는 것은 분명한 장점이 있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아니었다. 그리고 숲속의 물줄기로 인해 토양이 습하다는 단점이 있어 낮은 대지 레벨의 묻혀 보이는 단층 건물 또한 올바른 해답이 아니었다. 이에 따라 디자이너는 Archi Works의 주택을 두 개의 동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주 생활공간인 본동 바닥의 습기를 방지하면서 좀 더 높은 뷰(View)를 제공하기 위해 건물을 살짝 플로팅 시켰고, 별동은 본동과의 레벨을 맞추기 위해 성토를 했다.
거실, 주방 등 가족의 주 생활 공간을 배치한 본동은 넓은 창을 통해 풍부한 자연을 그대로 바라보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했다. 벽면 전체가 통유리로 된 구조라 숲속을 향하는 막힘없는 뷰를 제공하면서 자연채광을 온전히 받아들인다. 실내 공간은 무채색의 마감재와 가구, 소품들로 톤과 매너를 맞췄고, 창가와 선반, 천장에는 간접 조명을 매립해 인공조명이 자연광을 해치지 않도록 했다. 본동의 지하에는 클라이언트의 요청대로 농업에 필요한 모든 자재 및 물품을 적재하는 창고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하 공간을 설계했다.
별동은 성토를 해서 본동과의 레벨을 맞추고자 낮은 언덕을 두었는데, 이 낮은 언덕은 가족 공간인 본동과 공용 공간인 별동을 이어주는 브릿지 역할을 하며 작은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이 되도록 계획했다. 별동 공간은 완전한 게스트 원룸으로, 작은 공간 속에서도 보는 재미가 있도록 구성했다. 클라이언트가 만족했던 이번 프로젝트는 클라이언트가 농사를 지으며, 앞으로 나머지 대지에 조금씩 필요한 공간들을 채워나갈 예정이다. 녹음이 우거진 숲속 노출 콘크리트와 시멘트 벽돌의 차가움이 어우러지는 주택, 평창군 단독주택에서 클라이언트는 앞으로의 모습을 그리며 주변 사람들과 소통하는 일상을 보내게 되었다.
차주헌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댓글 정렬